-
출애굽기 3장 강해주석 해방자 모세의 소명강해주석/출애굽기 2017. 10. 12. 15:28참고서적 : 그랜드 종합주석
3장부터는 출애굽 역사가 구체화되는 장면이라 할 수 있겠습니다.
7절 이하 말씀을 통해서 학대받는 이스라엘을 해방코자 하시는 하나님의 분명한 계획하심을 알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우리는 출애굽의 역사가 분명히 하나님의 계획과 의지에 따라 이루어진 성역이라는 점과 하나님의 거룩한 뜻을 이루기 위함이라는 점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관련생각
모세의 소명은 이스라엘 해방자입니다. 이 소명은 하나님께서 미리 계획하신 의지로 부여된 것입니다.
주님께서 이루어 가시는 역사의 목적은 인간의 구원을 이루기 위해 태초부터 종말까지 상호 긴밀하게 연결된 사건이라는 것이 성경에서 말하는 구속사의 진리입니다.
모세를 출애굽의 도구로 세우신 하나님께서는 그 계획을 이루시기 위해 모세를 부르신 목적을 말씀하십니다.
그리고 미리 일어날 일을 말씀해주심에 따라 모세로 하여금 맡은 바 사명을 포기하지 않게 하기 위함과 동시에 맡은바 소임을 다하게 하셨습니다.
또 하나님께서 당신의 이름을 친히 계시하신 것은 출애굽의 실제적 주역이 당신이심과 당신의 이름으로 하신 언약은 꼭 이루시겠다는 것을 나타내시기 위함입니다.
관련생각
14절 말씀은 정말 중요합니다. 하나님께서 스스로의 존재를 드러내고 계시기 때문입니다.
기독교인이라면 가장 처음으로 하나님은 어떤 분이신가를 알아야하기 때문입니다.
‘나는 스스로 있는 자이니라’
하나님께서는 자존자이십니다.
스스로 존재하시며 의존 없이 자족하시며 영원하신 분이십니다.
그러므로 하나님께서는 부족하기 때문에 천지를 지으시고 사람을 만드신 것이 아니라 하나님의 능력과 영광의 풍성함을 나타내시기 위함입니다.
관련구절
원어해석
7절 알고 란 단어는 야다에 어근을 두고 있는 말로서 관찰과 주의와 깨달음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이것은 사물을 단지 지식적으로 알고 있는 차원이 아니라 분별력을 갖고 이해하며 알아준다는 뜻입니다.
14절 나는 스스로 있는 자니라(예흐웨 아쉐르 예흐웨) 나는 존재한다는 뜻의 예흐웨와 인친 관계대명사 아쉐르가 결합된 말로 아무런 구속도 받지 않으시고 독립적으로 스스로 자유를 이뤄 가시는 하나님의 자존적 특성에 강조점을 둔 말입니다.
금언
기독교의 정신은 하나님에 대한 경외심이다. - 괴테
진짜 지도자는 사람을 이끌 필요가 없다. 다만 길을 제시하는 것만으로 족하다. - 헨리 밀러
'강해주석 > 출애굽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출애굽기 6장 강해주석 약한 종을 위한 위로 (0) 2017.10.27 출애굽기 5장 강해주석 모세의 1차 해방 요구 (0) 2017.10.21 출애굽기 4장 강해주석 해방자 모세의 애굽 귀향 (0) 2017.10.17 출애굽기 2장 강해주석 해방자 모세의 등장 (0) 2017.09.25 출애굽기 1장 강해주석 이스라엘의 자손이 학대를 받다 (1) 2017.09.18